홍정민 , “ 다양한 분야 초기스타트업에 중기부가 기회 줘야할 것 ”
중기부 , 최근 5 년간 창업기업과 계약은 1% 수준
– 2020 년 4 월 창업기업우선구매제도 도입 이후에도 1% 수준 머물러
– 창업기업과 계약한 내역도 ‘ 홍보 ’ 위탁업무 위주
더불어민주당 홍정민 의원 ( 경기 고양병 ) 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중기부가 최근 5 년간 용역 · 공사 등의 계약을 체결한 현황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 , 창업기업과 계약한 것은 1%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.
홍정민 의원은 지난 2022 년 국정감사 때에도 공공기관의 창업기업제품 구매가 저조하다는 사실을 지적한 바 있다 . 정부는 2020 년 10 월 ‘ 창업기업제품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 ’ 를 도입했고 , 이에 따라 공공기관은 창업기업제품 구매목표율을 8% 로 설정해야 한다 . 하지만 공공기관 849 곳의 총 구매액 ( 제품 , 용역 모두 포함 ) 154 조원 중 창업기업제품 구매액은 1.8% 에 불과했다 .
홍정민 의원은 이번에 용역 · 공사 등 계약체결 현황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본 것으로 , 중기부가 최근 5 년간 (2018~2022) 외부기관과 체결한 총 1,010 억원의 계약 중 창업기업과 계약한 것은 4,9 억원 (0.49%) 규모에 그쳤다 . 계약건수로 봐도 487 건 중 창업기업과 계약한 것은 15 건 (3.08%) 에 불과했다 .
2020 년 10 월 도입돼 2021 년부터 시행된 점을 고려해 , 2021 년과 2022 년으로 한정하여 살펴보더라도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. 중기부가 최근 2 년간 (2021~2022) 외부기관과 체결한 총 396 억원의 계약 중 창업기업과 체결한 계약은 4.3 억원 (1.09%) 에 불과했으며 , 계약건수로 봐도 232 건 중 창업기업과 체결한 계약은 13 건 (5.6%) 에 그쳤다 .
홍정민 의원은 “ 창업기업우선구매제도는 초기창업기업들의 판로를 개척하고 기업을 외부에 알릴 기회가 될 뿐 아니라 , 초기단계 창업기업들이 시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게 돕는 역할을 한다 . 제품뿐만 아니라 용역계약도 , 창업기업과 계약비율을 늘려야 한다 . 창업기업의 경쟁력 강화 책임이 있는 중기부는 최소한 스스로 제시한 목표치 (8%) 를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” 고 말했다 .
보도본부 편집국